본문 바로가기
꼭 필요한 생활 정보

가족 사망 시 해야 할 절차 가이드 10단계 (임종부터 장례, 발인 등)

by 미마인 2025. 4. 7.
반응형

✅ 사망 후 절차 – 10단계 상세 정리


1단계: 119에 신고

  • 갑작스러운 사망이나 사고 시 즉시 119에 신고하여 응급처치 여부 확인.
  • 사망 확인은 의료진 혹은 경찰이 진행하며, 필요 시 현장조사도 병행됨.

2단계: 사망진단서 발급

  • 의사 또는 병원에서 사망진단서(또는 검안서)를 발급받음.
  • 사망진단서는 사망신고, 보험금 청구, 장례 절차 등 필수 서류임.

3단계: 장례식장 선택

  • 사망진단서를 지참하고 근처 장례식장 예약.
  • 일반적으로 3일장을 기준으로 식장, 장례 용품, 인력 등을 준비.

4단계: 매장 또는 화장 결정

  • 종교적/가족적 관습에 따라 매장 또는 화장을 선택.
  • 화장은 화장예약제로 미리 예약 필요 (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이용).

 

5단계: 사망신고

  • 주민센터에 사망진단서와 신분증을 지참하여 신고.
  • 가족관계등록부 정리와 함께 주민등록이 말소됨.

6단계: 재산 및 금융 정리

  • 고인의 은행 계좌, 부채, 신용카드, 공과금 등 정리.
  • 은행에 사망신고 시 계좌는 자동으로 거래정지 상태.

7단계: 자산 파악

  • 고인의 부동산, 예금, 자동차 등 모든 자산 확인.
  • 인터넷등기소, 금융감독원, 홈택스 등에서 조회 가능.

8단계: 사망보험금 청구

  • 생명보험, 상해보험 등 가입 여부 확인 후 보험사에 청구.
  • 사망진단서, 가족관계증명서, 보험금청구서 등 필요.

9단계: 국민연금·건강보험 등 정지 및 정산

  • 국민연금공단, 건강보험공단에 사망 사실 통보.
  • 정산 후 과오납 환급금이나 연금 지급 관련 처리.

10단계: 심리적 회복

  • 가족의 심리적 충격을 고려한 애도 기간 확보.
  • 필요한 경우 심리 상담, 전문기관의 도움도 고려.
  • 지역 복지관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지원 가능.

 

 

자세한 내용은 아래 유튜브를 참고하세요

https://youtu.be/zT3V-7VRpm8?si=AfAxOuEbvEB4xq6U

 

반응형